시라후지 쿄코를 점장으로 두고 있는 '와그나리아'는 일본 홋카이도에 있는 패밀리 레스토랑이다. 이 레스토랑이 위치한 곳은 도심가가 아니고, 수도로부터 꽤 멀리 떨어져있으며, 자급자족이 가능한 곳이 아니므로 지역 전체가 요리할 수 있는 음식의 양은 지역의 거주자가 일주일 정도 섭취할 수 있는 분량 정도일 것이다. 특히 이 레스토랑은 패밀리 레스토랑이므로, 필요한 재료들은 지역에서 거의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매일 신선한 재료가 다른 곳에서 운반되어야한다. 

 반면 이 레스토랑에서 햄버그 새우프라이를 주문하고 파르페를 후식으로 시켜먹는 손님들은 이 레스토랑이 운영되는데 필요한 자원이 잘 조정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 거의 신경을 쓰지 않을 것이다. 주문되는 소고기, 쌀, 치즈, 맥주, 새우.. 이 모든 종류의 음식은 지나치게 많아서도 안되고 모자라서도 안된다. 소를 어디서 키울 것이며, 쌀을 어디서 수확할지 누군가는 결정해야하고, 맥주는 어떤 방식으로 운반해야할지, 운전수는 누구를 고용할지.. 이런 세세한 부분까지 모두 누군가에 의해 결정되어야한다. 이런 복잡한 과정이 계속 진행됨에도 레스토랑은 매일매일 정상적으로 돌아가고 있다. 가끔 홋카이도의 기후 탓에 재료 운송에 차질이 있긴 하지만 매우 드문 일이다. 

 그렇다면 이 레스토랑이 폐점되지 않고 운영되고 있는 것은 레스토랑의 스태프가 훌륭하기 때문일까? 당연히 그렇지 않다. 이 레스토랑의 스태프가 전부 정상이 아니라는 문제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특별한 인재가 없는 이 근처의 식당들이 모두 잘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확한 이유는 일본이라는 국가가 생산과 분배의 결정을 시장에서 거래하는 개인들에게 맡기는 자유 시장 경제 체제를 채택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자유 시장 경제 체제가 뭐길래? 그 질문에 대한 답으로 본장에서는 시장이 어떻게 효율적으로 재화와 서비스를 배분하는가하는 문제를 살펴보려고 한다. 관료주의적 규칙이나 규제보다 대부분의 경우 시장이 더 잘 작동하는 이유를 알아보고, 끝에서는 시장 경제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논의해보겠다.



3.1 시장의 구매자와 판매자


 먼저 시장[각주:1]의 정의부터 시작하자. 한 재화의 시장은 그 재화를 사고 싶은 구매자와 팔고 싶은 판매자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특정한 날의 햄버그 새우프라이에 대한 햄버그 새우프라이 시장은 그 시간, 그 장소에서 잠재적으로 햄버그 새우프라이를 사거나 팔고자 하는 사람들의 집합이다. 햄버그 스테이크 시장의 판매자는 지금 햄버그 스테이크를 팔고 있거나, 혹은 적절한 상황이 되면 햄버그 스테이크를 팔고자하는 개인이나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구매자 역시 사거나, 살 수도 있는 개인들로 구성되어 있다. 조금 내용을 건너뛰어서, 재화의 가격은 어떻게 설정될까를 생각해보자. 도덕철학자, 초창기 경제학자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사람들이 이 간단한 질문에 대한 정확한 대답을 하지 못했거나, 많은 혼동을 했다. 학부생 중에서도 꼴통인 작성자가 마셜의 분석을 요약하는 것은 매우 우습지만, 일단은 생산비용과 사용자의 가치의 상호작용이 재화의 가격과 거래량을 결정한다 라고 대답해보겠다. 본장에서는 이 핵심 내용을 바탕으로 마셜의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에 대한 내용에 많은 지면이 할애될 예정이다. 

 


3.2.1 수요곡선



 수요곡선은 가격에 대해서 우하향한다. 가격이 오르면 덜 사고, 가격이 떨어지면 더 산다. 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모양을 띄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가격 변화의 대체효과[각주:2] 때문이다. 햄버그 새우프라이가 비싸지면, 구매자는 햄버그 스테이크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햄버그 새우프라이에 대한 수요가 감소한다. 둘째, 가격 변화의 소득효과[각주:3] 때문이다. 햄버그 새우프라이의 가격이 상승하면, 구매자는 쌌을 때 살 수 있었던 양을 더 이상 구매할 수 없다. 셋째, 구매자의 유보가격[각주:4] [각주:5]때문이다. 각 구매자마다 지불할 용의가 있는 금액이 다르므로, 가격이 상승하면 이전보다 적은 수의 구매자만이 햄버그 스테이크를 구매할 것이다. 




3.2.2 공급곡선



 공급곡선은 가격에 대해서 우상향한다. 가격이 오르면 더 팔려고하고, 가격이 떨어지면 덜 팔려고한다. 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모양을 띄는 이유는 기회비용 체증의 원리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이 원리는 햄버그 새우프라이 판매의 기회비용이 가장 낮은 사람들부터 햄버그 새우프라이를 판매해야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격이 낮게 형성돼있을 땐 기회비용이 낮은 하급인생들이 햄버그 새우프라이를 판매하겠지만, 가격이 높게 형성되면 기회비용이 높은 잘 나가는 인생들도 햄버그 새우프라이를 판매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3.3 시장균형



재화가 거래되는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을 알고 싶으면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점을 확인하면 된다. 한편 시장균형[각주:6]의 정의가 '만족한다'는 의미를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아야한다. 균형에서 판매자가 만족하고있다라는 말이 판매자가 균형가격보다 더 높은 가격을 받기를 원하지 않는다는 뜻이 아니다. 이 의미는 판매자들이 그 가격에서 팔기를 원하는 만큼을 정확하게 팔 수 있다는 뜻이다. 마찬가지로 시장균형에서 구매자들이 만족하고 있다는 것은 균형가격보다 더 싸게 사기를 바라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그 가격에서 사기를 원하는 만큼의 양을 정확하게 살 수 있다는 것이다. 


 

  1. 시장 : 한 재화의 시장은 그 재화를 사고 싶은 구매자와 팔고 싶은 판매자로 이루어진다. [본문으로]
  2. 대체효과 : 한 재화의 가격이 변할 때, 구매자들이 대체 관계에 있는 재화로 바꾸거나 (가격이 비싸지면), 대체 관계에 있는 재화에서 그 재화로 바꿈으로써(가격이 싸지면) 발생하는 수요량이 변화 [본문으로]
  3. 소득효과 : 한 재화의 가격 변화로 인해 구매력이 바뀜으로써 발생하는 수요량의 변화 [본문으로]
  4. 구매자의 유보가격(Buyer's reservation price) : 재화 한 단위를 얻기 위해서 구매자가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대 금액 [본문으로]
  5. 판매자의 유보가격(Seller's reservation price) : 일반적으로 한계비용과 일치하는 금액으로, 판매자가 한 단위를 더 만들어 팔 때 손해 보지 않도록 만들어 주는 최소한도의 금액 [본문으로]
  6. 시장균형 : 주어진 시장가격에서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 원하는 양을 거래할 수 있는 상태 [본문으로]

'애니메이션 > 애니로 알아보는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요와 공급 (2)  (0) 2016.04.14
비교우위 (2)  (0) 2016.04.11
비교우위 (1)  (0) 2016.04.06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0) 2016.04.06
블로그 이미지

Arabi

덕질/취미

,